라인야후와 네이버, 소프트뱅크 지분 협상 중: 글로벌 라인 사업의 향방은?
일본 정부의 요구로 라인야후 공동 대주주인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지분 협상에 나섰습니다.
이 협상의 결과로 인해 네이버가 일본 이외 제3국에서 라인 사업을 독립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협상의 배경과 현재 상황,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라인야후의 공식 입장
라인야후는 22일 연합뉴스의 질의에 대해 "네이버와 라인플러스 간에는 직접적인 자본 관계나 인적 관계가 없다"며 "라인플러스는 앞으로도 라인야후 산하 기업으로서 대만이나 태국 등 해외 사업을 총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라인야후는 향후 협상 과정에서 사업 분할이 이뤄질 가능성에 대해 "현 시점에서 그럴 예정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라인야후는 네이버에 대한 업무 위탁을 종료하기로 했지만, 라인플러스는 라인야후의 자회사인 만큼 업무 위탁을 계속할 방침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총무성이 개인정보 유출 대책으로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구한 이유가 네이버는 업무 위탁처이자 대주주여서 라인야후가 강하게 관리감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라인플러스는 라인야후 그룹이 100% 지분을 보유한 만큼 관리 감독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입니다.
네이버의 입장과 한국 증시의 반응
한국 증시 일각에서는 네이버가 라인의 일본 사업을 포기하더라도 동남아시아 등에서 운영하는 라인 사업을 떼어내 해외 사업 꿈을 이어갈 수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라인야후는 이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밝힌 것으로 해석됩니다. 라인플러스는 라인의 글로벌 시장 확대를 목적으로 2013년 한국에서 설립됐으며, 현재는 대만, 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라인플러스의 해외 사업 현황
대만에서는 뉴스 콘텐츠 서비스인 라인투데이와 핀테크 서비스인 라인페이, 인터넷 전문 은행 라인뱅크 등을 운영 중입니다.
태국에서는 뉴스 콘텐츠 서비스 라인투데이와 핀테크 서비스 라인페이, 라인BK 외에도 배달 서비스인 라인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핀테크 사업에 주력해 라인 스플릿빌과 라인뱅크 등을 제공합니다.
라인플러스는 라인 관련 한국법인 직원이 약 2천500명에 이르며,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향후 협상 전망
네이버 관계자는 소프트뱅크와의 협상 과정에서 라인플러스 사업권이 논의될 가능성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협의 중이라는 점에 변화가 없다"며 "정해진 것이 없다"고 연합뉴스에 밝혔습니다.
이는 앞으로의 협상 과정에서 라인플러스의 운영과 지분 구조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일본 총무성의 개인정보 유출 대책
지난해 11월, 네이버 클라우드가 사이버 공격으로 악성코드에 감염돼 일부 내부 시스템을 공유하던 라인야후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발생했습니다.
이에 일본 총무성은 올해 3월 5일과 4월 16일 두 차례에 걸쳐 이례적인 행정지도를 실시했습니다.
특히 라인야후를 상대로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구하면서, 라인야후의 공동 대주주인 네이버로부터 일본 내 '국민 메신저'로 자리 잡은 라인을 아예 빼앗으려 하는 게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결론
네이버와 소프트뱅크 간의 지분 협상은 일본 정부의 요구와 개인정보 유출 문제로 인해 복잡한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라인야후는 해외 사업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방침이지만, 향후 협상 결과에 따라 라인플러스의 운영 방향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협상이 어떻게 마무리될지, 그리고 라인 서비스가 글로벌 시장에서 어떤 변화를 맞이할지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다른 흥미로운 포스팅이 궁금하시면 여기를 클릭해 주세요^^
박나래, 방송 중 눈물을 감추고 웃어야 했던 사연 공개!
박나래, 방송 중 눈물을 감추고 웃어야 했던 사연 공개!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많은 분들이 좋아하는 방송인 박나래의 가슴 아픈 이야기를 전해드리려고 합니다. 5월 22일 방영된 LG U+
minerinfo.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