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기도 수원시의 '자립준비청년 셰어하우스 CON' 제도에 대해 알아보자

by 작가석아산 2025. 2. 26.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현대적인 셰어하우스. 따뜻하고 아늑한 분위기의 공동 거실과 여러 개의 침실, 공유 주방이 갖춰진 모습. 젊은 거주자들이 모여 대화를 나누는 따뜻한 커뮤니티 공간이 강조된 인테리어 디자인."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자립준비청년을 위한 현대적인 셰어하우스. 따뜻하고 아늑한 분위기의 공동 거실과 여러 개의 침실, 공유 주방이 갖춰진 모습. 젊은 거주자들이 모여 대화를 나누는 따뜻한 커뮤니티 공간이 강조된 인테리어 디자인."

경기도 수원시의 '자립준비청년 셰어하우스 CON' 제도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경기도 수원시에서 운영하는 '자립준비청년 셰어하우스 CON' 제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제도는 아동복지시설에서 퇴소한 청년들에게 안정적인 주거 공간을 제공하여 자립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럼, 함께 살펴보시죠!

목차

1. '셰어하우스 CON'이란?

'셰어하우스 CON'은 수원시에서 청년 주거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Community(지역사회)'와 'ON(계속)'의 합성어로, 지역사회와 함께 지속적인 지원을 의미합니다.

아동복지시설에서 퇴소했거나 퇴소 예정인 청년들에게 임차료 없이 2년간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공동 주거 공간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청년들이 함께 미래를 준비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2. 신청 대상 및 자격

신청 대상은 아동복지시설을 만기 또는 중도 퇴소했거나 퇴소 예정인 29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입니다.

여기서 아동복지시설이란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을 의미합니다.

최근에는 지원 대상을 확대하여, 자립준비청년에 준하는 청년으로 범위를 넓혔으며, 지원 연령도 34세까지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3. 입주 혜택 및 지원 내용

'셰어하우스 CON'에 입주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임차료 전액 지원**: 수원시에서 임차료를 100% 지원하며, 입주자는 관리비 및 공과금만 부담하면 됩니다.
  • **맞춤형 가구 및 가전 제공**: 개인 및 공용 공간에 필요한 가구와 가전, 생활용품 등을 설치해드립니다.
  • **지역사회 서비스 연계**: 청년 관련 서비스 우선 이용, 취·창업 관련 기관 연계 및 추천 등을 지원합니다.
  • **자립 프로그램 제공**: 입주 청년들이 함께 생활 규칙을 만들고, 지역사회 봉사단체와의 멘토·멘티 체계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도모합니다.
  • **만기 퇴거 시 추가 지원**: 임대주택 입주 우선권 및 보증금 지원 등 퇴거 후에도 지속적인 지원을 제공합니다.

4. 신청 방법 및 절차

신청은 이메일 또는 방문 접수를 통해 가능합니다.

**이메일 신청**: aromamin@korea.kr로 신청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방문 신청**: 수원시청 도시재생과 주거복지팀으로 방문하여 접수하실 수 있습니다. 주소는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41, 별관 7층입니다.

접수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이며, 점심시간인 12시부터 1시까지는 제외됩니다.

신청 기간 및 모집 인원 등 자세한 사항은 수원시청 공식 홈페이지나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 확인하기

5. 문의 및 추가 정보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하신다면 수원시 도시재생과 주거복지팀으로 문의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는 031-228-3028입니다.

또한, 아래 링크를 통해 관련 공고문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공고문 확인하기

'자립준비청년 셰어하우스 CON'은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립을 위한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고 있습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적극적으로 참여해보시기 바랍니다.

**중요 키워드**: 자립준비청년, 셰어하우스 CON, 수원시, 청년 주거 지원, 아동복지시설 퇴소 청년

 

2025.02.17 - [분류 전체보기] -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가치 통합돌봄' 제도에 대해 알아보자